보고서/Broadcasting(64)
-
삼성스마트TV :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허득만 상무
[ITReport Comment]삼성전자 스마트TV 플랫폼에 대한 소개자료입니다. 기존의 TV시장 흐름에 스마트TV 플랫폼 제공업체라는 구성요소가 생겼다는 것을 잘 소개 한 것 같습니다.기존의 SO와 PP업체를 수급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일방적인 방식에서 플랫폼 업체에서 스토어를 열어 별도 SO와 같이 구성 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음을 잘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TV 시장의 가장 문제점은 사실 플랫폼입니다.스마트폰처럼 플랫폼의 주기가 짧고 1인 사용자에 맞춤형 제공이 가능한데..스마트TV는 주기가 길고 1인이 아닌 가족의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사용의 주체도 불명확합니다. 플랫폼의 주기가 길다는 것은 시스템 퍼포먼스가 떨어져 서비스의 혁신을 주기가 힘들어진다는 이야기와 같습니다. ..
2012.09.14 -
초고화질 영상산업 동향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김성량 연구원
[ITReport Comment]흑백TV에서 컬러TV로 변화하면서의 변화는 매우 강렬하였다.광고 시장의 파급력과 수 많은 콘텐츠들의 축제가 되었다. 그 뒤 HDTV가 만들어지며 연기자들의 얼굴에 잡티가 보여 연기가 망설여진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가 되었다. 그런데 UHDTV로 넘어가며 일명 실감방송으로 넘어오려하고 있다. 디지털방송으로 넘어오며 또렷해진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물의 선명함과는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화면을 보면서 그 현장의 느낌이 아니라 허구라는 것을 느끼는 상황이다.오감방송까지는 아니더라도 시각은 속을 수 있을 정도의 또렷함과 청각을 제공하는 것을 가끔씩 대형 극장에서 보는데... 그것을 집 화면 안방으로 옮기는 현황에 대한 자료이다. 전체적으로 일본이 방..
2012.09.13 -
신유형 미디어 서비스 도입에 따른 각국 규제 논의 현황 - OTT(Over-the-top), Connected TV를 중심으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실 이기훈 전문연구원
[ITReport Comment]해당 자료는 OTT에 대한 규제관련한 각 국가별 상황에 대한 정리 자료이다.자료에서도 보듯이 미국·캐나다와 다른 국가들은 서로의 입장이 다르다.미국은 원천적으로 시장에 대한 규제를 잘 하지 않는 국가라 할 수 있다. OTT도 그러한 맥락에서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로 규정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은 어떠한가...?사실 한국에서 OTT를 실시하는 티빙, 호핀, POOQ에 대하여 별 반응이 크지 않다.우리나라는 컨텐츠에 대한 파괴력이 크다고 하지만 지상파에 몰려 있고 DMB가 일찍이 제공되면서 실시간 방송에 대한 기반을 제공하여 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장을 넓히는데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다음이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만들었으나 이것..
2012.09.12 -
OTT 서비스 확산과 비즈니스 사례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 이은민 부연구위원
[ITReport Comment]OTT 서비스에 대한 시장 전체를 분석한 자료이다.인터넷 사업자 그리고 방송 사업자 마지막으로 단말 사업자.예전에는 서로 분리되어 협력관계였었다면 현재는 서로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여 서로 시장을 싸우고 있는 상태이다.Netflix의 경우 VOD 중심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이 중심이 되고 있으나 매출 증가는 주춤하고 스트리밍으로 인한 투자비가 급격하게 늘어났다. 그로 인하여 주가가 급격하게 떨어진 것도 사실이다. Original Content 전략은 모든 사업자가 중점을 두고 있는 상태이며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이다보니 더욱 심해질 것이라 생각 된다. 한국에는 지상파 방송사업자들의 연합한 POOQ이 다양한 단말기에 들어가고 있고 그 외에 TVING HOPPIN이 실시간과 VO..
2012.09.11 -
스마트TV 앱 관련 주요 사업자 동향 및 시장 활성화의 저해 요인 분석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이승엽 선임연구원
[ITReport Comment]스마트TV 앱관련 주요 사업자 동향자료이다.이 바로 아래 있는 OTT자료와 작년 스마트TV 자료를 함께 보면 좋을 듯 하다. 특히, 스마트TV관련 시장이 생각보다 활성화 안되는 이유에 대해서 잘 나와 있다.스마트TV는 기존 스마트폰에 비하여 신규 기기 전환의 텀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이를 위해서 삼성 스마트TV는 해당 KIT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만들기는 했지만...소비자가 적극적으로 변경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말 바꾸면 세상이 변하는가....라고 하면 할 말이 없지 않은가...? 물론 이번 올림픽을 위해서 바꾼 사람들이 많았겠지만 말이다. 그 외에 각종 OTT사업자들이 시장에 들어오며 콘텐츠 회사들이 도와주지 않는 점도 국내 스마트TV ..
2012.09.11 -
미국 실시간 방송 OTT 서비스 현황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미디어연구실 이기훈 전문연구
[ITReport Comment]OTT (over the top)은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가 만들어지고 있다.IDC 서버에 안테나를 연결하고 사용자의 Client 영역을 분양한 다음 그 Client를 통하여 휴대폰이나 다른 본인의 소유 기기를 통하여 보여주도록 하는 서비스를 하겠다는 아이디어를 만들다니 말이다. 한국에서는 DMB가 대중매체로써 손쉽게 볼 수 있으나 미국은 미디어플로우 등 공중방송을 휴대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정착화되지 않아 서비스가 원활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 자료는 미국의 각종 OTT사업자가 격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담은 자료이다.한국은 형태가 약간 색다르다고 할 수 있다. 우선 OTT사업자는 아니지만 스카이라이프가 최근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권고를 받았다.접시가 없이 K..
2012.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