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Broadcasting(64)
-
OTT 서비스 사업 진화 방향과 계층별 주요 쟁점
[IT Report Comment] 우리나라의 Tving과 유사한 미국의 Netflix가 2011년 6월 기준으로 2,459만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미국 최대 유료방송 사업자 Comcast의 2011년 3월 기준 2,270만명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특히, 인터넷 회선만 보장된다면... TVING 같은 솔루션이 퀄리티 좋은 방송을 제공 할 수 있고 저렴하게 방송을 시청 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국내에서는 거의 PC 및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TV등으로 시청하는 구조인데... 스마트TV에서 TVING같은 OTT가 저렴하게 지원된다면 우리나라의 방송 문화가 많이 변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OTT가 방송과 인터넷 VOD 서비스의 중간 단계 이끼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모이다보면... 다양한 영상 콘텐..
2011.09.03 -
T-DMB WHITE PAPER_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HITE PAPER
[IT Report Comme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DMB 관련 백서입니다. 영문으로 작성된 내용으로 해외 대상 DMB 사업에 대한 홍보 자료로 보시면 됩니다. DMB에 대한 SO로써의 운영능력은 현재 인정을 받은 상황인지라... 이러한 홍보가 해외 수출에도 좋은 영향을 주리라 생각 됩니다.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것을 다 하겠다고 하다보니... 진행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부분이 퀄컴의 미디어플로가 되겠네요. 이동형 방송과 데이터의 만남은 즉석형 설문조사를 만들 것이고... 이러한 설문조사는 아주 파괴적인 여론 형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시장의 변화가... 영향이 아주 클 것이라 생각됩니다만... 이러면 정책입안자들이... 별로 안좋아라 할 듯도 합니다. ^^ 대신, 정부에서 돈이..
2011.09.01 -
방통융합 공통기반환경 시범구축 및 민원서비스 개발 결과
[IT Report Comment] IPTV를 이용한 전자민원 서비스에 대한 공통 플랫폼 구축 관련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왜그리 표준화를 좋아하는지... 근데 희안하게... 한국내 표준화에요... 먼저 표준화 시켜서 세계 표준화를 이끌겠다는 느낌이긴 한데... 그 효과는 항상 없었던 듯 합니다. 해외와의 공통 표준화를 만들면.. 안되나..? 하는 생각 입니다. [관련 IT Report] 2011/08/22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추진방향 2008/02/10 - Web 2.0시대의 공공부문 변화 양상 : 2007.09 KISDI 미래전략연구실 정은희 연구원 2007/09/20 - Web 2.0시대의 공공 부문 변화 양상 : 2007.09.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09/12 - u-City 공공..
2011.08.23 -
스마트TV 서비스 동향분석 및 전망
[IT Report Comment] 개인적으로 스마트TV의 전략은 방송 시장의 채널 확대라고 생각 된다. 채널이란 Program Channel을 의미하는데.. 우리가 보는 실시간 방송의 채널도 있지만... VOD 채널도 있고... 그리고 바로 Internet Site를 보는 Channel도 있는 것이다. 인터넷 사이트가 매체로 인정 받은 것은 오래되었으며 이러한 인터넷 사이트를 TV에 맞게 제공 될때... 스마트TV가 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인터넷 사이트가 스마트TV에 맞게 어떠한 콘텐츠를 어떻게 제공 될 수 있을까가.. 스마트TV의 발전 방향이 되지 않을까요..? (흠흠. 너무 혼자 생각하는 건가...;;) [관련 IT Report] 2011/08/18 - 스마트TV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수용에 관한..
2011.08.19 -
스마트TV 서비스의 이용 동기와 수용에 관한 탐색적 논의
[IT Report Comment] 1. 스마트TV의 새로운 서비스로 인해 기존 TV 매체의 기능 변화 가능성 2. 스마트TV의 보급이 다른 미디어의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관점에서 작성된 글이지만. 대체 뭘 주장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내용 봐도 저 위의 글은 파악이 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스마트TV와 IPTV의 다른점은 스마트TV는 인터넷 웹을 이용한 검색과 IPTV사업자 이외의 사업자를 통한. 즉, 제조사 외의 다른 매체를 통한 TEXT 및 사진 그리고 동영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데 있지 않을까라는 점과 별도의 독립된 채널(URL)이 존재하여 해당 채널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사용 할 수 있는 점이 IPTV와 다른 점이 아닐까 싶다. 기존 TV 매체와 비교하면 고정되고 폐쇄된 ..
2011.08.18 -
스마트TV 광고 시장 및 기술 동향
[IT Report Comment] 스마트TV 시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는 것은 스마트TV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부분도 있겠지만.. '광고'시장의 변화도 있지 않을까 하는 부분입니다. 스마트TV는 디지털 매체이기 때문에 시청자의 반응을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화면을 분활하여 한쪽에서는 방송이 한쪽에서는 그와 관련된 정보 및 쇼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가능 할 것입니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토막광고나 중간광고 또는 PPL 형태의 간접광고가 한계였으나 디지털에서는 그 형태가 좀 더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스마트TV에 대한 콘텐츠를 어떻게 만들 것이냐가 더 중요하고.. 그에 대한 플랫폼 제작 및 해당 플랫폼 제작 시 미디어 랩들과의 공조가 스마트 TV를 키워는 방향이 아..
201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