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Broadcasting(64)
-
[스마트 TV] Samsung Smart TV SDK
[IT Report Comment] 삼성 스마트 TV SDK의 발전방향을 바로 볼 수 있습니다. 초기 Widget에서 Flash 지원 그 다음 USB Controller 및 Bluetooth 지원으로 연계 디바이스 지원 메터 데이터 지원 및 에듀테인먼트 기기 지원(2012년 제품) 등 발전방향이 눈에 보인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Samsung Smart TV 관련 App 개발을 하시려는 분들께서는 해당 내용을 검토하시고 해당 시장에 들어가는 것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으리라 생각 됩니다. 생각 보다는 SDK 지원이 나쁘지 않네요. ^^ Ps. 개인적으로 SDK 개발 시 SDK를 모두 활용하는 APP을 하나 만든 후 소스를 개방해 주신다면 많은 개발자들이 손쉽게 APP들을 많이 만들지 않을까 싶습니..
2011.07.29 -
[스마트TV] 구글 TV용 안드로이드 앱 개발
[IT Report Comment] Google TV에 대한 정보가 현재로써는 매우 빈약한 것이 사실이다. Android로 돌아간다는 막연한 이야기가 다라고 봐도 될 정도이다. 해당 자료에는 Google TV의 H/W Specifications 자료들과 모습이 들어있다. 그리고 구글TV 키패드에는 방향키 터치패드가 들어가서 좀 더 편한 UI를 즐길 수 있지 않을까 싶다. [IT Report 관련자료] 2011/07/20 - 스마트TV 시장의 전개양상 및 주요 사업자의 시장 전략 2011/07/19 - 소셜 TV 서비스 (Social TV Service) 2011/07/18 - 스마트TV가 나아갈 길 2011/07/18 - 차세대 스마트 TV 발전 방향 2011/07/18 - 스마트TV 시장 활성화 정책 ..
2011.07.29 -
20110725 CONEX 미국 모바일 TV 시장 급격한 변화 진행
[IT Report Comment] 최근 1-2년간 방송 동향을 못 보다가.. Medio Flo가 서비스를 완전히 접은 것을 지금에서야 알았습니다. 아마도 미국의 휴대폰 단말기 선정이 통신사를 기반으로 하다보니... 통신사에서 해당 부분을 빼라고 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모비TV(MobiTV)가 T-모바일, 버라이즌(Verzion Wireless), 스프린트(Sprint)등을 활용 하다보니 모비TV에 밀려 시장에 들어가지 못하고 두손을 들었다고 해야 할 듯 합니다. 미국은 유료방송이 대세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 모바일 TV시장이 변화할 지 궁금합니다. ^^ - 2011년, 유료 서비스 중심의 미국의 모바일 TV시장은 '플로TV(FLO TV)'의 사업 종료로 열악한 사항 - 2010년 12월 퀄컴 ..
2011.07.26 -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
[IT Report Comment]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에 대해서 세부적인 기술 방법과 간략한 국가별 국내 기관 및 기업 등 개발 현황을을 잘 정리 하였고 해당 시장전망도 잘 정리 되어 있는 자료이다. 과거(2007년도) LBS사업 진행 시 ETRI 담당자 분께서 3D TV관련하여 진행한다고 하시면서 곧 상용화가 생각보다 빨리 될꺼다라고 하셨는데.. 그 현실을 요즘 크게 느끼고 있다. 영상관련하여 정말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으셨던 분인데.. 사설이 길었는데.. ^^ 안경방식 3D DISPLAY는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커서 자연스럽게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이를 해결 할 것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방식이라 생각 되며 이에 대한 자료를 ^^ 참조하기 바란다. [관련 자료] 2011/07/2..
2011.07.25 -
안경방식 3D 디스플레이 측정 표준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PR평관안경방식 / 셔터안경 방식 / Active retarder 방식, Anaglyph 방식에 대하여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해당 3D 디스플레이 측정 표준 관련 기관을 설명하고 측정항목들에 대한 측정법이 논의되는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 해당 자료가 개인의 의견 방식을 급하게 취합하다보니 해당 측정 표준 방식에 대한 소개가 미약하게 소개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3D 디스플레이 측정 방식에 대한 표준화 방식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구술은 잘 되어 있는 편이라 생각 된다. [관련 자료] 2011/07/25 -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 2011/07/18 - 차세대 스마트 TV 발전 방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홍형기 조교수..
2011.07.25 -
스마트TV 시장의 전개양상 및 주요 사업자의 시장 전략
[IT Reprot Comment] 스마트 TV 관련하여 가장 정리가 잘 되어 있는 자료이다. 사업자별 스마트 TV 관련 사업 추진 현황과 사업자별 콘텐츠 / 플랫폼 / 네트워크 / 기기에 대한 사업 영역을 잘 분석하여 놓았다. TV가 가지는 경쟁요소를 Google에서 Google I/O에서 정리한 것을 잘 정리하여 놓았으며 스마트TV 사업의 갱쟁력 요소와 이에 필요한 선순환 형태를 잘 정리해 두었다. 또한, 각 기업마다의 스마트TV 전략을 정리해 두어 스마트 TV에 대해서 관심을 두고 있는 분이라면 해당 자료를 꼭 참조하기 바란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책연구본부 융합정책연구부 이승엽 선임연구원 (02-2142-2110, yeopcp@kca.kr) Ⅰ. 서론 Ⅱ. 스마트TV의 개념 Ⅲ. 주요 사업자 ..
201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