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
[IT Report Comment]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에 대해서 세부적인 기술 방법과 간략한 국가별 국내 기관 및 기업 등 개발 현황을을 잘 정리 하였고 해당 시장전망도 잘 정리 되어 있는 자료이다. 과거(2007년도) LBS사업 진행 시 ETRI 담당자 분께서 3D TV관련하여 진행한다고 하시면서 곧 상용화가 생각보다 빨리 될꺼다라고 하셨는데.. 그 현실을 요즘 크게 느끼고 있다. 영상관련하여 정말 다양한 아이디어가 있으셨던 분인데.. 사설이 길었는데.. ^^ 안경방식 3D DISPLAY는 자연스럽지 못한 면이 커서 자연스럽게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이를 해결 할 것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방식이라 생각 되며 이에 대한 자료를 ^^ 참조하기 바란다. [관련 자료] 2011/07/2..
2011.07.25 -
안경방식 3D 디스플레이 측정 표준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PR평관안경방식 / 셔터안경 방식 / Active retarder 방식, Anaglyph 방식에 대하여 작동 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해당 3D 디스플레이 측정 표준 관련 기관을 설명하고 측정항목들에 대한 측정법이 논의되는 것들을 소개하고 있다. 해당 자료가 개인의 의견 방식을 급하게 취합하다보니 해당 측정 표준 방식에 대한 소개가 미약하게 소개되지 않았나 싶다. 그러나 3D 디스플레이 측정 방식에 대한 표준화 방식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내용의 구술은 잘 되어 있는 편이라 생각 된다. [관련 자료] 2011/07/25 - 차세대 무안경식 디스플레이 기술현황 2011/07/18 - 차세대 스마트 TV 발전 방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홍형기 조교수..
2011.07.25 -
2011년 6월말 기준 유선 및 무선 통신 서비스 가입자 현황
[IT Report Comment] KT의 이동전화 증감율이 눈에 보이게 확연히 줄어들었습니다. 해당 증감율 줄어든 것이 SKT, LGU+가 잘 했다기 보다는... KT의 2G 사용자가 줄어든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해당 자료가 방송통신위원회 자료인데... 사실 지금부터 궁금한 것은.. 2G/3G/4G 사용자에 대한 구분자료가 필요 할 듯 합니다. 무선인터넷 관련해서 찾는 것이 아직도 WAP/ME냐 ISMS냐를 따지고 있는데... 현재 해당 단말기 자체가 극히 미비하여 해당 통계를 본다는 것 자체가 그리 의미가 없다고 생각 됩니다. 특히, 일부 스마트폰의 경우 WAP/ME도 지원하지 않으며 ISMS방식도 지원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해당 스마트폰의 경우 무선인터넷 통계에도 안잡히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
2011.07.25 -
2010년 방송사업자별 시청점유율 (방송통신위원회 발표자료)
[IT Report Comment] 맨 하단에 출처와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2010년도 방송통신위원회의 시청점유율 분석 현황 자료를 보았습니다. 1. KBS [지상파·PP] 2. MBC [지상파·PP] 3. SBS [지상파·PP] 4. 조선일보 계열 [PP] 5. CJ계열 [SO·PP] 6. 중앙일보계열 [PP] 7. 매일경제계열 [SO·PP] 8. 티브로드계열 [SO·PP] 9. C&M [SO·PP] 10. KNN [지역지상파] 이라고 하는데.. 밝혀준 점유율을 합하면 84%를 차지한다는데.. 제가 합해보면 100%가 넘더군요. ;;; (해당 자료의 신빙성이 확~ 떨어졌답니다.) 그래도 순위는 맞겠죠..? 그외에 지상파 / 계열 PP 시청 점유율은 따로 나와 있더군요. 구분 지상파 점유율 계열 PP ..
2011.07.25 -
방송통신위원회, '모바일 콘텐츠 오픈마켓 상생협력 가이드라인' 발표
[IT Report Comment] 이번 방송통신위원회의 Appsotre 가이드라인이 각 부처간의 조율이 된 상태에서 발표한 것인지 약간은 의문 스럽습니다. 앱스토어 교육과 해외 진출 현지화 지원은 현재 중기청 소관이고 또 어떤 부분은 지경부 소관이고 또 어떤 부분은 문광부 소관이기 때문입니다. 정보통신부가 갈갈이 찢어지면서 해당 소관이 더더욱 모호해져서... (하긴 그때도 모호했지만 지금 처럼 수많은 부서가 내꺼다라고는 안했죠.) 이 정책이 모든 부서가 조율된 것인지... 약간 의문스럽습니다. 그 의문의 첫번째가 바로 '제조사' 오픈마켓의 가이드라인 적용 부분입니다. 참고로 콘텐츠 회사의 자체 오픈마켓 진행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부분은 또 어떻게 할 것인지... 그리고 해외 오픈마켓과는 다른 적..
2011.07.25 -
2010 NIA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법제도적 시사점
[IT Report Comment] 소셜미디어에 대한 유형과 기본속성 그리고 각 국가별 이용자 현황에 대한 모습을 잘 다루었습니다. 특히, 다른 곳에서는 잘 다루지 않았던 소셜미디어의 문제점 부분을 5장에 잘 조목조목 다루었습니다. 또한, 소셜 광고에 대한 부분도 적절히 잘 잡아 놓았습니다. SSL 사용여부 등도 잘 보아야 할 부분이지 않을까도 싶습니다. 소셜미디어에 대한 정책과 기획을 하시는 분이라면 눈여겨 해당 자료를 보셨으면 합니다. 연구책임자 : 한국정보화진흥원 이규정 연구위원 참여전문가 : 배재대학교 미디어정보사회학과 이동훈 교수 참여연구원 : 한국정보화진흥원 차재필 선임연구원 제 1장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제 2장 소셜 미디어의 유형과 속성 제 1절 소셜 미디어의 개념과 유형 1. 소셜 커..
201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