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2010년도 스마트폰 음성통화 품질평가 결과
[IT Report Comment] 사업자별 통화성공률과 지역별 통화성공률 그리고 통화유형별 통화성공률 등 다양한 통화성공률에 대한 자료가 있습니다. 근데 예전보다 요즘 더욱 더 통화품질이 떨어진다는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측정시도한 44,202호 중 실채한 것이 939호 입니다. 특히 접속실패 및 단절호가 854호나 있는데 이건 측정시도의 2%정도로 매우 높은 실패가 아닌가 싶습니다. 해당 품질 측정시에는 시민단체도 함께 참석하고 단말기의 군도 좀 더 다양하게 가져간 상태에서 테스트 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해당 단말기도 시민단체 참석자의 휴대폰으로 측정하는 것도 방법 일 듯 합니다.) 사업자별 통화 성공률 1. SKT 2. LGU+ 3. KT 평균 98.5% 97...
2011.07.22 -
2011 소셜미디어 광고의 확산과 전망
[IT Report Comment] 소셜 미디어가 뜨고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가 어디서 돈을 벌지...?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근데. 인터넷은 아직 광고와 직접적인 상품 판매가 아닌 상태에서는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래도 광고 금액이 TV의 1/3규모에서 1/2 정도 규모로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고 성장율 또한 매우 높은 편이다. 라디오나 잡지의 광고보다 매출이 더 큰 상황이며 곧 신문 전체 광고 매출보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가운데 페이스북의 PV 수와 인터넷 미디어의 광고 단가와 그리고 부류별 점유율 자료가 나와 눈길을 끈다. 소셜 미디어의 노출단 당가 (CPM)은 $0.56로 다른 인터넷 미디어 보다 매우 작은 금액이다. 그러나 소셜미디어가 전체 광고 노출 중 27.7%나 차지..
2011.07.22 -
2011년 상반기 별정통신사업자 현황 (6월 기준)
[IT Report Comment] 방송통신위원회 발표 별정통신사업자 현황자료가 발표되었습니다. 별정 통신 1,2,3,4 호 관련하여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등록번호 / 상호 / 자본총액 / 등록일자 / 별정 호별 자료입니다. 전국 지역별 별정통신사 수 정도 있었으면 해서 IT Report Page에 추가 하였습니다. 대구가 의외로 많군요. ^^ 해당 자료 문의 : 방송통신위원회 통신이용제도과 김현회 (02-750-2559) 지역 별정통신사 수 서울 515 부산 35 광주 11 강릉 4 대전 17 대구 51 전주 6 제주 1
2011.07.22 -
방송통신위원회 MVNO 도매제공 가이드라인 제정
[IT Report Comment] 방송통신위원회에서는 MVNO에 대해서 기준 할인율을 최대 53%까지 제공한다고 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해당 가격이 MNO사업자의 소매금액에서 할인율로 작용되어 실제 MNO사업자끼리의 정산금액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표준 금액이 10초 18원이면 분당 108원 금액인데 53% 할인율을 적용하더라도 분당 50.76원 즉, 10초당 8.46원의 금액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할인율을 적용안하면 분당 57.24원 분당 9.54원의 금액이 됩니다.) 소비자들 중에서도 저렴하게 사용하는 사람들도 10초당 9원 정도의 금액을 사용하는 상황인지라 해당 금액이 그렇게 매리트가 있지 않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자사 TO 자사간의 통화도 해당 금액을 그대로..
2011.07.21 -
한국 MVNO 등록 현황
[IT Report Comment] 방송통신위원회에서 MVNO 제도 도입을 시행한지 거의 2년이 되어가는 시점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도매제공 가이드라인을 제정하였으나 아직은 부족한 듯 합니다. 해당 MVNO 도매제공 가이드라인은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MVNO 등록현황 회사명 대표 등록일 주요 주주 사업분야 한국케이블텔레콤 장윤식 2010.10 - 태광산업 91% - HCN 4% - CJ헬로비전 1% 인터넷 전화 국제전화 망 임대 온세텔레콤 최호 2010.11 - 세종텔레콤 19.86% - 사모펀드 19.48% 국제전화 시외전화 S로밍 김도성 2010.11 - 케이티하이텔솔루션 50% 해외로밍 휴대폰 렌탈 몬티스타텔레콤 김태암 2010.11 - 김태암 45% - 디코럭스 30% - 곽창욱 15% ..
2011.07.21 -
Microsoft의 Skype 인수합병 효과와 전망
[IT Report Comment] 개인적으로 Microsoft의 Skype 인수합병에 대해서 나는 긍정적으로 보는 편이다. 상당히 비싼 비용(ebay가 Skype 인수 시 비용 26억불 / MS 인수비용 85억 불)에 인수를 하였지만 개인적으로 Microsoft Exchange Server와 연동하여 SharePoint Groupware와 연동을 하여 PC to Skype (VoIP) 등을 한다면 기업망 통신용으로는 최고의 기능이 되지 않을까 싶으며 Exchage나 SharePoint에 CRM 기능을 추가한다면 더더욱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거기에 이번에 Facebook과 연동한 것 처럼 두개를 연동 할 수 있다면...!!!!! 그러한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이 마련되지 않을까..
201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