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라인 v2.0
[IT Report Comment] u-City IT 인프라 구축 세부 가이드랑니 자료입니다. 추진절차부터 기초 인프라 그리고 센서망, 유·무선망, 통합운영센터 등의 각종 자료가 모여 있습니다. 분명 예전에 http://www.ucitycenter.org가 있었는데... 사이트가 어느 사이에 없어졌더군요. u-city에 대하여 표준화 관련 자료들도 있었던 것인데... 2010년 초만 해도 활동했었던 것 같은데... 그 사이에 없어졌습니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사이트에도 사업별 웹사이트는 있으나 접속이 안되더군요. 국가에서 표준정책을 만들면 지속적으로 남겨 있어야 하는데... 그래서 해당 자료가 이렇게 블로그라도 남아 있는 것이 중요한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u-City가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시설물관리 시스템 ..
2011.07.24 -
20091119 행정안전부 u-서비스 추진현황 및 2010년 추진방향 (u-City)
u-서비스 추진현황 및 2010년 추진방향 유비쿼터스 기반 국가정보화 추진이 공공기관 지방이전, 사회안전망 구축, 재난재해 대응은 이해하겠는데.. 금융위기 극복이 들어가 있다. 그리고 2011년 미국 정부는 지역데이터센터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로 변경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모두 중앙정부 형태이며 클라우드 형테의 데이터 센터로 변경을 의미한다. 각 지역마다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해당 전산담당자를 만들겠다고 한 우리나라는.. 이번 미국의 발표로 영향을 받을 것인지 모르겠다. 2009년에는 클라우드가 아직 활성화 되지 않은 시점이지만... 국내는 정보보안을 이유로 외부에 홈페이지 만들어도 되는 것을 내부에 끌어안고 있는 것들이 상당히 많다. 행정안전부에서 바라보는 u-서비스동향이야기에 사설이 깊었던 듯 하다. 아..
2011.07.24 -
20091119 CISCO 지속가능한 Green u-서비스 구현 전략 (u-City)
[IT Report Comment] u-City에 대한 CISCO의 국내 제안 자료이다. PPP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도시통합 서비스 플랫폼과 공공, 민간/상용 서비스를 제안한 것이다. 민간사업자도 공공 u-City사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이야기이며 해당 수익이 좋다라는 제시 자료이기도 하다. 뭔가 Comment를 붙이기 애매모호하여... 그냥 자료를 직접 보기를 바란다. [관련 u-City 자료 LIST] 2011/07/24 - 200705. 전국 지자체 u-City 추진현황 분석 2008/07/22 - 유비쿼터스와 도시의 만남, u-City 2008/07/22 - u-City 서비스 기술 및 국내외 추진현황 2008/07/22 - '2007년 u-City 테스트베드 완료보고회 자료 2008/..
2011.07.24 -
200705. 전국 지자체 u-City 추진현황 분석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u-City를 추진하는 SDS의 추진현황 자료이다. 2007년 5월 자료로 무려 4년이나 지난 자료이나 해당 사업방법론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삼성그룹의 u-City를 위한 업체별 개발목표가 나와 있어 의미있는 자료라 할 수 있을 듯 하다. 또한, 도시통합 운영센터 플랫폼에 대한 기능이 자세히 나와 있어 이에 관심 있는 기업들은 유심히 볼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 된다. 과거 SDS 발표 u-City자료가 하나 삼성의 요구에 의하여 삭제되었다. 이 자료는 전자정부 발표자료로 정부에 발표한 공개 자료로써 다음에서 삭제 시 먼저 나에게 확인을 부탁한다. [관련 u-City 자료 LIST] 2011/07/24 - 20091119 CISCO 지속가능한..
2011.07.24 -
201104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기 시험인증 동향
[IT Report Comment] 기존 이동통신사들이 왜 WiMAX가 아닌 LTE에 그렇게 열중 할까...??? 그것은 바로 기존 WCDMA에서 진화된 기술로서 기존 WCDMA 네트워크 망과 연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기지국 설치 투자비 및 운영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에서 상용화를 실시중이거나 상용화를 계획중에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무척 강한 것이 사실이다. 국가 통신사 스웨덴 Telia Sonera (2009.12 최초 사용 서비스 시작) 미국 Verizon , AT&T 일본 NTT DOCOMO 독일 T-Mobile 한국 SKT, LG U+ 그리고 이러한 LTE가 새로운 네트워크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에 맞도록 시험규격을 개발해야 하는데 RAN5, PTCTB, ..
2011.07.24 -
201106. 모바일 IPTV 지원을 위한 모바일 멀티캐스팅 기술 표준 동향
해당 자료는 Mobile에서 현재 많이 사용중인 IPv6에서 현재 새로운 표준으로 재정된 Proxy Mobile IP (PMIPv6)를 기반으로 한 IPTV분야의 적용과 관련된 사항을 정리 한 자료입니다. 아직 IPv6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한 것이 사실입니다. 단순히 IPv6라는 것이 만들어지면 되는 것이 아니고 IP들을 관리하는 기구와 그것이 여러 장비들을 이동 했을때 이를 관리하는 기술 등 과거 IPv4에서의 IP사용과는 그 형태가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부분에 표준화가 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현재 이 자료도 Mobile IPTV라는 제목을 들고 나왔으나 사실 Mobile IPv6에 대한 멀티캐스팅을 위한 새로운 Proxy 방식의 Routing에 대..
2011.0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