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Contents(37)
-
2007문화산업백서 : 문화체육관광부
[ITReport Comment] 개인적으로 해당 문화산업백서의 시작은 기존 참여정부 깍아내기를 극명하게 들어내고 있습니다. 문화산업에 있어 참여정부의 정책적 지원은 기존 정부와는 확연히 다르게 들어났었습니다. 초기 기반을 딱아주고 그 이후의 일은 시장에서 규모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정책하에 초기 예산을 늘린 후 그것을 캐피탈쪽의 금융으로 넘겼습니다. 100억 미만의 예산에서 2000억대 이상의 예산으로 늘리면서 많은 기업들이 수혜를 입고 참여정부때 '한류'라는 것을 최소한 아시아에서는 먹힐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CT(Cultural Technology)에 대한 비전 및 로드맵을 만들어 진행 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사실 문화산업백서 내용은 이러한 정권에 의한 내용 ..
2008.08.13 -
영화 콘텐츠의 디지털 유통 동향 : 2007.02.16 KISDI
[IT Report Comment] 영화 콘텐츠 디지털 유통 현황자료가 표로 잘 정리 되어 있습니다. 또한, 국내 홈비디오 시장이 점차적으로 무너져 가고 있는 자료도 포함 되어 있습니다. 리포트에 작성하시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됩니다. 영화 콘텐츠의 디지털 유통 동향 KISDI (정보통신정책연구소) - 목 차 - Ⅰ. 개요 Ⅱ.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 Ⅲ. 국내 영화산업의 특징: 2차 윈도우의 부진 Ⅳ. 영화 콘텐츠 디지털 유통 동향 가. 영화 콘텐츠의 디지털 유통 나. 해외 디지털 유통 동향 다. 국내 디지털 유통 동향 라. 국내 디지털 유통 전망 V. 결어
2007.11.06 -
통신기업의 콘텐츠산업 진입 : 의미와 전망 : 2006.08.01 삼성경제연구소 고정민 연구원
Ps. 국내 통신업체의 콘텐츠 회사 M&A에 대한 자료가 나와 있습니다. 근데... 방송사업자의 콘텐츠 회사 M&A와 통신사업자의 콘텐츠 회사 M&A등을 함께 보아야 하는데... 약간 부족한 감이 있습니다. 통신기업의 콘텐츠산업 진입 : 의미와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고정민 연구원 - 목차 - Ⅰ. 디지털화가 콘텐츠산업에 미친 영향 Ⅱ. 국내 통신기업의 콘텐츠부문 신규진입 Ⅲ. 향후 전망 Ⅳ. 업계 및 정부의 추진과제 부록
2007.11.02 -
웹2.0의 철학과 미디어 전략 : 2007.10.19 경성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김선진교수
Ps. 김선진 교수님이 작성하신 내용중 마지막에 이야기 하신 사용자들의 미디어 소비습관 행태의 변화에 대한 민감한 관찰을 통해 사용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새로운 미디어 가치를 계속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말에 적극 동의합니다. 콘텐츠가 전문가가 아닌 누구나 콘텐츠를 만드는 시대가 왔으며 일 인하여 시청되는 매체 또한 달라진 것이 사실입니다. 신문/방송이라는 미디어 매체에서 일반인의 블로그 / 포털의 게시판 또는 클럽 등에서 서로의 대화에서 아이템이 만들어지고 그에 의한 트래백되는 글들로 인하여 연계되면서 사용자들은 빠른 정보습득에 행태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딱, 10년전을 생각해보더라도 그때야 겨우 WEB전문 사이트인 넷츠고/채널아이가 나왔고 네띠앙이 일반 회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에 ..
2007.10.21 -
인터넷상에서의 컨텐츠 비즈니스 유형변화에 관한 연구 : 2007.08.0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s. 국내 콘텐츠 사업은 세계에서 항상 초기에 들어갔지만... 글로벌 무대를 만들지 못하여 항상 해외 기업보다 뒤쳐지는 양상을 엿보이고 있습니다. 사실 국내 벤처투자를 한다면 국내에서 새로운 기술을 가진 회사와 해외의 유통망을 가진 회사들을 연계시키는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모델이 아닌가 싶은데... 이런 뜻을 가진 회사들은 많지 않더군요. 그래서 맨날 국내에서 서로 치고박고 싸우다가 해외에 큰 회사 만들어지면.... 쥐죽은듯 하구....;;; 옛날에 새롬기술의 인터넷전화 다이얼패드는 그런 모델을 반대로 해서 갔었지만.... 인터넷 인프라의 한계로(저는 기술은 그리 많이 진보했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욕을 먹고 떨어져 나갔었지요. 아직도 개인적인 생각은 국내의 시장만으로 바라보기는 힘들고..
2007.10.08 -
통ㆍ방 융합 시대 디지털 컨텐츠 전략 및 기술 발전 동향 : 2007.07.10 정보통신연구진흥원
Ps. 디지털미디어족에 의한 시장 상황 변화에 대한 설명입니다. 콘텐츠의 질과 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커질 수 없다는 부분을 판도라 TV가 유투브보다 먼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크는데 한계성이 있었던 것을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통ㆍ방 융합 시대 디지털 컨텐츠 전략 및 기술 발전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총 6 쪽 - 목차 - 1.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 2. 국외 디지털 컨텐츠 시장 동향 3. 국내 디지털 컨텐츠 시장 동향 4. 결론
2007.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