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Contents(37)
-
2010년 해외콘텐츠 시장조사 음악 부문
[IT Report Comment] 음반 시장은 점차적으로 줄고 있다. 그러나 음반 시장은 사실 그렇게 많이 줄어들지 않았다. 단지, 음반을 출시 하고 매지니먼트 하던 음반사가 굶어죽게 쓰러지게 된 것 뿐이지 공연 시장도 더 확대 되었으며 디지털 판권은 안정적이 되었고 인터넷 모바일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시장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유통 방식이 음반의 경우 개별 곡을 구매 할 수 없는데 반해 디지털 판권들의 경우 자신이 원하는 곡만 뽑아 구매하거나 들을 수 있어 시장의 소비 방식이 변화하였다. 그리고 실연자의 경우 부가 시장인 CF시장이나 게임음악 등 다양한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데 있다. 특히, 모바일 시장이 커지면 더더욱 음반 시장은 빠르게 줄어들 것이라 생각되고 디지털 시장은 더 빠르..
2011.07.29 -
2010 해외콘텐츠시장조사 캐릭터 부문
[IT Report Comment] 캐릭터의 정의 및 해당 시장에 대한 자료 등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저도 캐릭터를 활용한 각종 앱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상품 퍼블리싱을 하려고 하였습니다. 특히 교육용 마켓 시장에 들어가려고 했었죠. 주변에 교육이나 앱개발 파트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캐릭터의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쪽과 협의 중에... 틀어졌습니다. 개인적으로 소매가격의 30%선을 캐릭터 라이센스로 제시하였는데... 이것이 너무 적다고 틀어진거죠. 결국 50%를 제시한 회사가 해당 라이센스를 가져갔다는 이야기만 들었습니다. 물론 인기 캐릭터이다보니 그 현상이 벌어졌습니다만 최근 아시아중 중국의 성장이 크고 중동 및 아프리카 등 캐릭터 상품권이 많지 않은 쪽의 성장이 커서 여러 방안으로 도전해 보..
2011.07.29 -
2010 해외콘텐츠 시장조사 게임부문
[IT Report Comment] 해외 게임 시장 관련 조사 내용입니다. 게임 시장에 대한 정의 및 구조를 파악한 후 해당 분석을 한 자료입니다. 세계 게임 시장 규모를 보면 콘솔 게임은 증가하나 아케이드 게임은 줄어들어 결국 모바일 게임 시장보다 작아질 것으로 예측 되고 있습니다. PC 게임 시장은 줄어들긴 하나 완만하게 줄어들고 대신 온라인 게임의 증가가 두두러지게 예측 되는 것이 보입니다. 이러한 예측은 해당 디바이스의 성장과 매칭이 될 것으로 생각 됩니다. 해당 자료에는 국가별 게임 플랫폼에 대한 자료나 게임의 경쟁자.. 여가 활동 방식에 대한 자료들도 포함되어 있는 등 자료가 알차게 정리 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업별 각 사업부에 대한 개발 업무 및 해당 타이틀 까지 정리되어 있고 그 회사의 ..
2011.07.29 -
2010년 전 세계 3D 극장 영화 시장 규모
[IT Report Comment] 2010년 세계 3D 극장 영화 시장 규모 61억달러 그 중 북미가 21억 7,400만 달러로 35.6%로 3D 영화에서 북미가 절대적인 시장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성장세는 점차적으로 둔화되고 있고 3D 영화 콘텐츠가 유럽 및 아시아에서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면 해당 3D 영화 시장이 폭팔적으로 늘어나면서 북미비중은 줄어들 것이라 예상 된다. [관련 IT Report] 2011/07/26 - 201106 KOCCA 2011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서 2007/11/06 - 영화 콘텐츠의 디지털 유통 동향 : 2007.02.16 KISDI 2011/07/26 - 201106 KOCCA 2011년 1분기 콘텐츠산업 동향분석 보고..
2011.07.28 -
웹툰 무료서비스를 통한 만화의 블랙마켓 기능 연구
[IT Report Comment] 개인적으로 작성자와 나의 시각이 약간 다르다. - 60년대 ~ 80년대 초중반 대본소 만화방 - 80년대 후반 해적판 - 90년대 대여점 - 2000년대 스캔만화 분명 만화의 블랙마켓으로 인하여 기존의 시장은 깨졌다고 생각 된다. 이 부분은 사실 음악 시장과 동일하다고 본다. 음악 시장과 다른 점이 있다면...? 60년대 ~ 80년대 대본소 만화방이 난립하면서 이현세를 시작으로 허영만, 김영하 등의 만화가들이 인기를 얻게 되었고 최근에는 박봉성, 김성모 등이 90년대 대여점을 기반으로 꾸준한 인기를 끌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변화는 만화가 서점에서 대여점으로 대여점에서 웹으로 이동을 하였고 웹툰이 출판사가 운영하며 유통과 배급을 통한 소비로 선순환이 이루어지..
2011.07.28 -
201107 KOCCA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의 주요 현안과 개선방향
[IT Report Comment] 얼핏 보기에는 국내 애니메이션 매출액은 4,000억대 시장으로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실상을 들어보면 뽀로로, 방구대장 뿡뿡이 같은 유아 애니메이션 시장을 제외하고는 한국 만화가 최근에 뭐가 있지...? 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즉, 실제적으로 한국의 애니메이션의 시장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뽀로로'를 이야기 했지만 실제 뽀로로를 만든 제작사 오콘의 경우 뽀로로를 통하여 확실한 애니메이션 제작사 입지는 다졌지만 실제 수익은 남기지 못하였습니다. 가장 알맹이라고 할 수 있는 캐릭터 완구 및 팬시 등은 모두 제작비 충당을 위하여 판권을 팔았기 때문입니다. (이걸 공동투자 형식이라고 취하였었죠.) 그래서 2007년-2008년 경에 해외 투자를 받아 선물공룡 디보를 만들었으..
201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