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스마트TV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IT REPORT COMMENT] 해당 내용에서 콘텐츠에 대한 생태계를 잘 정리하여 준 자료이다. 도식화 하여 작성되었으면 이해가 쉬웠을 것 같지만 일단 말로도 잘 정리 되어 있다. 스마트 TV가 되며 앱스토어에서 패키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지만 실시간 방송 서비스(TVing, 아프리카TV) 외에 VoD서비스(Conting, 곰TV등)의 앱은 과연 어느쪽에 속하느냐 등 정책적 쟁점에 대한 검토등에 대하여 이야기를 잘 풀어나가고 있다. 개인적으로 스마트TV가 되며 기존의 송출사업자가 프로그램 사업자의 채널을 정하던 시절이 해당 정책에 의해서 완전히 달라질 수 있으며 Smart TV의 APP 하나가 PP(Program Provider)가 되어 광고를 넣으며 서비스 할 수 있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로써 제..
2011.07.18 -
스마트TV 서비스 전망
[IT REPORT COMMENT] 해당 전망 자료는 그 틀을 잘 나누었다고 생각 된다. 단지, 내용의 깊이는 사실 없다. 단순히 업체간 비교라던가 업종간 연횡에 대한 이야기라던가... 이런 이야기는 없고 단순 나열이다. 그래도 마지막에 스마트TV 서비스 주체 별 서비스 및 전략을 표로 만들어 놓았다. 해당 내용은 사람들이 볼만한 내용이라 생각 된다. (아래 표를 붙여 놓았다.) 제조업체 및 플랫폼 개발사 포털 및 콘텐츠 사업자 유료방송 사업자 회사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애플, 야후 구글, 애플, 야후, 아마존, NHN, 다음, SK컴즈 텔스트라, 컴캐스트, 타임워너, KT, LG U+, SK BTV 주요 서비스 기기연동, N-스크린, 앱 마켓 검색, SNS, 이메일, 뉴스, 클라우드 서비스, 음..
2011.07.18 -
스마트 TV 기술 동향과 시사점 EIC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구글TV, 삼성전자, LG전자의 기술동향에 대한 자료이다. 스마트 TV에 대한 시선이 키워드를 알아서 찾고 추천하는 형태를 취하며 다양한 입력장치 제공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근데. 우리는 TV를 이전까지 무엇이라 불렀나...? '바보상자'라고 불렀는데... 스마트 TV는 똑똑한 TV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는 듯 하다. SNS, 통합검색 등 사용자 경험(UX)를 어떻게든 주려고 하는 듯한 모습이다. 나는 스마트 TV라고 한다면 자체적으로 PP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자체적으로 Sction(Category)별로 지속적으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나가 끝나면 바로 다음이... 연결 되서 말이다. 그리고 이 방송이 질리면.. 다른거 하면서 여러가지..
2011.07.15 -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스마트TV 콘텐츠 이슈
[ITREPORT WORLD]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에 이어 스마트 TV까지 스마트라는 이름이 달리지 않으면 안될만큼 스마트 Contents가 이슈이다. 그 중 스마트 TV는 TV와 인터넷의 통합으로 이야기 될 수 있으며 앞으로 Contents가 어떤 형태로 생산되며 유통되고 소비 될 것인지가 관건일 것이다. 즉, Contents 제작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해당 내용은 단순히 유통과 소비(배포)관련된 내용만 나와 있어서 아쉽지만 여기서 생산에 대한 방식을 조금이나마 점쳐 볼 수 있지 않을까도 싶다. 2011.05 송민정 KT경제경영연구소 1. 머리말 2. 글로벌 플레이어별로 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접점 및 전략 비교 3. 각 플레이어 관점에서 본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콘텐츠 이슈 4. 맺음말..
2011.07.15 -
삼성 휴대폰 휴대폰 펌웨어 무선 서비스 제공 (Firmware Over The Air)
[IT Report World] 삼성전자의 무선 펌웨어 서비스는 휴대폰의 사용을 매우 유용하도록 만들 것으로 예상 됩니다. 그 동안 케이블을 연결해야 했기 때문에 사용 방법을 장년층이상에게 소개하기가 힘들었으나 이번 무선 서비스로 해당 영상 및 매뉴얼만으로도 사용이 매우 간편해 졌으리라 생각 됩니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지원기종이 아주 최신 폰민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이 매우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 삼성전자는 한국 안드로이드 폰들을 대상으로 FOTA(Firmware Over The Air)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관련 URL : sams..
2011.07.15 -
스마트폰 모바일 플랫폼 동향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스마트폰 관련 다양한 통계자료가 있어 해당 시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더군요. ^^ 전반적인 모바일 플랫폼 동향 파악 시 최근 자료까지 나와 있으니 꼭 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스마트폰 모바일 플랫폼 동향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통계분석팀 김용균 책임 Ⅰ. 서론 Ⅱ. 주요 모바일 플랫폼 동향 1. Symbian, MeeGo 2. iPhone OS 3. Android 4. BlackBerry OS 5. Windows Mobile (Windows Phone) Ⅲ. 시사점
2010.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