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Broadcasting(64)
-
스마트TV 서비스 전망
[IT REPORT COMMENT] 해당 전망 자료는 그 틀을 잘 나누었다고 생각 된다. 단지, 내용의 깊이는 사실 없다. 단순히 업체간 비교라던가 업종간 연횡에 대한 이야기라던가... 이런 이야기는 없고 단순 나열이다. 그래도 마지막에 스마트TV 서비스 주체 별 서비스 및 전략을 표로 만들어 놓았다. 해당 내용은 사람들이 볼만한 내용이라 생각 된다. (아래 표를 붙여 놓았다.) 제조업체 및 플랫폼 개발사 포털 및 콘텐츠 사업자 유료방송 사업자 회사 삼성전자, LG전자, 구글, 애플, 야후 구글, 애플, 야후, 아마존, NHN, 다음, SK컴즈 텔스트라, 컴캐스트, 타임워너, KT, LG U+, SK BTV 주요 서비스 기기연동, N-스크린, 앱 마켓 검색, SNS, 이메일, 뉴스, 클라우드 서비스, 음..
2011.07.18 -
스마트 TV 기술 동향과 시사점 EIC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구글TV, 삼성전자, LG전자의 기술동향에 대한 자료이다. 스마트 TV에 대한 시선이 키워드를 알아서 찾고 추천하는 형태를 취하며 다양한 입력장치 제공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근데. 우리는 TV를 이전까지 무엇이라 불렀나...? '바보상자'라고 불렀는데... 스마트 TV는 똑똑한 TV를 만들기 위하여 노력하는 듯 하다. SNS, 통합검색 등 사용자 경험(UX)를 어떻게든 주려고 하는 듯한 모습이다. 나는 스마트 TV라고 한다면 자체적으로 PP를 갖추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자체적으로 Sction(Category)별로 지속적으로 나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나가 끝나면 바로 다음이... 연결 되서 말이다. 그리고 이 방송이 질리면.. 다른거 하면서 여러가지..
2011.07.15 -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스마트TV 콘텐츠 이슈
[ITREPORT WORLD]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에 이어 스마트 TV까지 스마트라는 이름이 달리지 않으면 안될만큼 스마트 Contents가 이슈이다. 그 중 스마트 TV는 TV와 인터넷의 통합으로 이야기 될 수 있으며 앞으로 Contents가 어떤 형태로 생산되며 유통되고 소비 될 것인지가 관건일 것이다. 즉, Contents 제작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해당 내용은 단순히 유통과 소비(배포)관련된 내용만 나와 있어서 아쉽지만 여기서 생산에 대한 방식을 조금이나마 점쳐 볼 수 있지 않을까도 싶다. 2011.05 송민정 KT경제경영연구소 1. 머리말 2. 글로벌 플레이어별로 본 멀티스크린 서비스 접점 및 전략 비교 3. 각 플레이어 관점에서 본 멀티스크린 환경에서의 콘텐츠 이슈 4. 맺음말..
2011.07.15 -
모바일 TV 심층보고서 By 방송통신해외진출시스템 CONEX
[IT REPORT COMMENT] 각 국가별 모바일 TV (DMB)에 대한 자료가 나와 있음. 특히 미주 지역이 전체 지역 모바일 TV 가입자 수의 12% 밖에 안되고 유럽이 다 합해도 17% 정도로 그 수가 많지 않음. 미주 지역의 경우 대부분 시범 서비스 상태이며 실제 미국과 브라질만이 상용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음. 개인적으로 멕시코에 모바일 TV에 대한 관심이 가져진다고 생각 됨. 아직 멕시코는 DMB가 아닌 아날로그 모바일 TV 상태. 즉, 이동형 TV에 대한 활용성에 대해서는 눈을 뜬 상태. 그러나 DMB처럼 깨끗한 화질의 TV가 아니어서 화질에 대한 한계성을 지닌 상태로 멕시코시티 등 특정 지역부터 시작한다면 DMB에 대한 시장성도 충분하리라 생각되며 이동통신 사업자와 함께 진행한다면 그 파괴..
2010.01.29 -
해외 지상파 방송사의 인터넷 대응 동향
해외 지상파 방송사의 인터넷 대응 동향 유선실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미래융합연구실 책임연구원, 02-570-4333, sunsil@kisdi.re.kr 1. 개요 2. 현황 (1) 지상파 방송사를 둘러싼 환경 변화 (2) 해외 지상파 방송사의 인터넷 대응 동향 1) 미국 2) 영국 3. 결어 참고자료 주요국의 지상파 채널과 다채널 방송의 시청점유율 비교 세계 주요 매체별 광고시장 규모 및 전망 미국 4대 지상파 방송사 광고 매출 규모 미국 주요 온라인 동영상 사이트 이용 현황 ('09년 09월 기준)
2010.01.01 -
2009년 하반기 국내 IPTV 시장 동향
2009년 하반기 국내 IPTV 시장 동향 허다혜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신정책연구실 연구원, 02-570-4211 , dahhye@kisdi.re.kr 1. 개요 2. 2009년 하반기 국내 IPTV 시장동향 (1) IPTV 가입자 수 변화 (2) IPTV의 컨텐츠 변화 (3) 요금제 구성 변화 3. 결어 참고자료 [그림 1] IPTV 실시간+VOD 서비스 가입자 수 변화 추이(2007년 4Q ~ 2009년 3Q) [표 1] 사업자별 IPTV 실시간방송 채널 수 변화 [표 2] 2009년 4분기 사업자별 IPTV채널 및 요금 구성
201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