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태블릿 시장의 경쟁과 시사점
[IT Report Comment] 태블릿 시장 경쟁 현황 관련 자료가 나타나 있습니다. 태블릿 시장은 크게는 '아이패드'와 '안드로이드 패드'와의 경쟁이고 약간 세분화해서 본다면 '아이패드'와 '갤럭시탭' 그리고 '킨들 파이어'와의 경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외의 업체들은 아직 뚜렷하게 시장을 크게 선도해 나가는 업체는 없다시피 하지 않나 싶습니다. 애플은 아이폰의 수 많은 콘텐츠를 아이패드로 끌어오며 확장하였으나 안드로이드는 콘텐츠 보안의 불안정 문제로 해당 시장의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단, DRM 보안을 어느정도 확보하고 저가의 eBook 시장은 향후 전자교과서의 참고용 등으로 확대되어 그 수요가 점차적으로 커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고가의 시장은 다양한 컨텐츠에..
2012.04.27 -
홈네트워크기기 디자인 소비자 조사 결과
[IT Report Comment]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의 '홈네트워크기기 디자인 소비자 조사 결과' 자료입니다. 협회 차원에서 조사 한듯 하며 조사자가 어디인지 나타나있지는 않습니다. 홈네트워크 기기 품목별 디자인 평가는 좀 이해하기 힘든 형태로 조사가 되었습니다. HW와 SW를 동일선상에서 조사하였더군요. HW를 중심으로 보자면. 실외주변기기 > 중심기기 > 모바일 주변기기 > 실내주변기기 순이며 SW중심으로 보자면. 스마트폰 APP GUI > 윌패드 GUI 순이었습니다. 해당 용어 정의는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홈네트워크기기 디자인 소비자 조사 결과 홈네트워크 기기 디자인 평가 01 | 홈네트워크 기기 디자인 평가 1) 홈네트워크 기기 전반적 디자인 평가 2) 홈네트워크 기기 품목별..
2012.04.25 -
OTT 서비스 사업 진화 방향과 계층별 주요 쟁점
[IT Report Comment] 우리나라의 Tving과 유사한 미국의 Netflix가 2011년 6월 기준으로 2,459만명으로 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미국 최대 유료방송 사업자 Comcast의 2011년 3월 기준 2,270만명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특히, 인터넷 회선만 보장된다면... TVING 같은 솔루션이 퀄리티 좋은 방송을 제공 할 수 있고 저렴하게 방송을 시청 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국내에서는 거의 PC 및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TV등으로 시청하는 구조인데... 스마트TV에서 TVING같은 OTT가 저렴하게 지원된다면 우리나라의 방송 문화가 많이 변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OTT가 방송과 인터넷 VOD 서비스의 중간 단계 이끼 때문에... 이러한 것들이 모이다보면... 다양한 영상 콘텐..
2011.09.03 -
중국 콘텐츠시장의 전략적 중요성과 장르별 진출방안
[IT Report Comment] 중국의 문화콘텐츠 증가 11%를 넘으면서 다른 아시아 국가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 성장을 하고 있으며 일본 다음으로 시장 큰 나라이기도 합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이 최대 교역국으로 일본과 미국을 합한 것 만큼의 크기이며 또한 흑자를 내고 있는 국가로 중요한 파트너임이 확실합니다. 미국의 세계 시장 교역자로써의 역활이 흔들리며 중국이 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상태인지라 그들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 됩니다. 지금의 이 자료는 전문화된 자료라기 보다는 가볍게 읽는 핸드북 느낌입니다. 그래서.. KOCCA에서 정식으로 이렇게 자료가 나왔다(?)는 것이 조금 갸우뚱 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해 할 수는 없으나 아직까지 중국을 깔보는 경향이..
2011.09.02 -
T-DMB WHITE PAPER_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WHITE PAPER
[IT Report Comme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DMB 관련 백서입니다. 영문으로 작성된 내용으로 해외 대상 DMB 사업에 대한 홍보 자료로 보시면 됩니다. DMB에 대한 SO로써의 운영능력은 현재 인정을 받은 상황인지라... 이러한 홍보가 해외 수출에도 좋은 영향을 주리라 생각 됩니다. 기술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것을 다 하겠다고 하다보니... 진행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대표적인 부분이 퀄컴의 미디어플로가 되겠네요. 이동형 방송과 데이터의 만남은 즉석형 설문조사를 만들 것이고... 이러한 설문조사는 아주 파괴적인 여론 형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시장의 변화가... 영향이 아주 클 것이라 생각됩니다만... 이러면 정책입안자들이... 별로 안좋아라 할 듯도 합니다. ^^ 대신, 정부에서 돈이..
2011.09.01 -
방통융합 공통기반환경 시범구축 및 민원서비스 개발 결과
[IT Report Comment] IPTV를 이용한 전자민원 서비스에 대한 공통 플랫폼 구축 관련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왜그리 표준화를 좋아하는지... 근데 희안하게... 한국내 표준화에요... 먼저 표준화 시켜서 세계 표준화를 이끌겠다는 느낌이긴 한데... 그 효과는 항상 없었던 듯 합니다. 해외와의 공통 표준화를 만들면.. 안되나..? 하는 생각 입니다. [관련 IT Report] 2011/08/22 - 방송통신융합 공공서비스 추진방향 2008/02/10 - Web 2.0시대의 공공부문 변화 양상 : 2007.09 KISDI 미래전략연구실 정은희 연구원 2007/09/20 - Web 2.0시대의 공공 부문 변화 양상 : 2007.09.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09/12 - u-City 공공..
201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