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 Talk(69)
-
직접 서버 설치를 진행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해보며...
10년 전 부터 사용해왔던 워드프레스입니다만... 서버를 직접 설치하고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본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항상 제작사로부터 테스트 서버를 받거나 또는 호스팅 회사에서 제공해 준 공간에서 워드프레스를 설치 하였었지요. 그러면서 워드프레스의 업데이트 그리고 그 외에 테마 및 플러그인 등에 의하여 PHP 설정 변경 등이 필요했습니다. 이번에 클라우드 서버를 통하여 셋팅해보면서 그래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를 직접 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현재의 클라우드 서버와는 조금 다르지만 20년 전 데이콤을 통하여 윈도우 서버 터미너 임대를 사용했었는데... 그때 이후로 새로운 재미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좀 더 워드프레스 공부를 한 다음에 원하던 것을 셋팅해 봐야 겠습니다.
2020.06.09 -
10여년 만에 블로그 스킨 교체...?
10여년 만에 블로그 스킨을 교체하여 보았습니다. 거의 IT 및 IR 관련 Report로 운영하다보니 해당 블로그 스킨이 문제가 없었다고 생각했는데... (좀 구닥다리 느낌은 들지만 말입니다.) 터미널 코드가 들어가는데... 이것 저것 코드 관련 부분이 구분이 안되어... 스킨 교체가 필요하구나.. 하고 교체하였습니다. 현재 은퇴 6년차에 들어가다보니.. 할 것도 없고... 공부할 겸 클라우드를 공부하면서 블로그질?을 하게 되는군요. 여튼 한동안은 계속 매일 업데이트 하려고 노력 할 예정입니다.
2020.05.31 -
인터넷 망 상호접속기준은 통신사만 배불리고 콘텐츠 산업 자체를 망가트리고 있다.
[ITReport Talk] 인터넷 망 상호접속료와 관련된 이슈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과거 Google의 Youtube, Facebook때에 이어 Netflix에 의해서다. 국내 인터넷 기업들이 '역차별'을 주장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상호접속고시'로 인한 '망비용 증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상호접속고시는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을 데이터 발신자가 정산하도록 부담하는 방식으로 '전기통신설비의 상호접속기준'을 정한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망을 운용하는 통신사들이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지 않는 무정산 원칙으로 운영하였고 현재 대부분의 국가 (148개국 중 99.98%)에서 이를 체택하고 있다. 인터넷 트래픽의 증가로 결국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급속도로 망 비용이 증..
2020.05.13 -
SKT의 2G 조기종료 정당한가?
[ITREPORT TALK] SKT에서 지난 1월 경 '2G 서비스 조기 종료'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SKT, 2G 서비스 종료 신청…010 완전 통합 초읽기 011 유지는 2021년 6월까지 www.bloter.net 그러나 2020년 2월말 기준 SKT의 2G 사용자는 419,714명 있는 상황이며 MVNO 사용자도 있는 상황이다. (MVNO의 SKT사용자 수는 아직 공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언론에서 SKT의 2G 서비스 조기 종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2가지로 볼 수 있다. 1. KT의 2G종료 승인 때 가입자 수가 1%에 불과하다 현재 SKT의 가입자수는 2890만명이며 2G 가입자 수는 41만 9714명이다. 대략 1.45%의 가입자 수이다. 그러나 KT 조기종료 시 가입자..
2020.04.29 -
싱가포르, 개인형 이동수단 규제 확대 (전동 킥보드 & 전기 자전거 등)
[ITREPORT NEWS] 개인형 이동수단 (전동 킥보드 및 전기 자전거 등)에 대해서 국내는 아직 법규제가 미미합니다. 법적으로 원동기 장치 자전거 면허가 있어야 운행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안전장비를 착용하면 대부분 단속하지 않는 상황이며 전동 킥보드나 전기 자전거 번호판도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안전장비가 있으면 저전거도로내 주행도 거의 잡지 않는 상황입니다. - 법적으로 미묘해서... 단속 실효성이 떨어져 잡지 않는 듯 한데... 법 정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원동기 장치이기 때문에 자전거 도로 내 주행은 사실 문제가 많습니다. - 자전거 도로 내에서 자전거가 전동 킥보드보다 빠르게 다니는 것이 함정ㅡ_ㅡ;;; : 관련 기사 클릭) 현재 2018년 11월 국회에서 법정비가 되지 않아 대통..
2020.01.07 -
'타다' 과연 혁신이란 포인트와 어떤 매칭이 있는 것일까?
[ITREPORT TALK] 최근 국토해양부의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안'으로 인해 '타다'가 곧 불법이 되는 상황에 빠졌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 그로 인해 한쪽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서비스 혁신 중 대표주자 '타다'가 산업규제로 인해 불법서비스로 나락한다는 이야기와 다른 한쪽에서는 원래부터 불법택시운전 서비스를 한 것에 불과하다는 이야기만 나오고 있다. 과연? 왜 타다라는 서비스가 나왔으며 기존 택시보다 비용이 비싼데도 불구하고 서비스 혁신이라며 사람들이 타다에 몰리는 이유는 무엇이었을까?를 주관적 판단하에.. (객관적 데이터가 거의 없으니...;;;) 나열해 보고자한다. 타다는 혁신적인 서비스일까? 우선 단어적 의미를 찾아보자. 혁신 革新 , Innovation 기술의 진보 및 개혁이 경제에 도입..
2019.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