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이동통신사업 장기전망방향 : 1994.12.3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s. 아주 옛 자료입니다. (따끈 할 수가 없군요....;;) 이동통신 관련 전반적인 서비스에 대한 자료입니다. 지금의 동향과 너무나도 거리가 멀어서...;;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옛 자료가 필요하신 분이 있을지 몰라 공유합니다. - 목차 - 서 언 요약문 제1장 서론 제2장 이동전화서비스 제1절 이동전화시스템의 도입연혁 1. 아나로그방식 2. 디지틀방식 제2절 이중전회시스템의 보급현황 분석 1. 시스템의 다양화 2. 전세계적으로 빠른 보급추세 3. 시스테별 도입현황 제3절 가입자 시장분석 1. 세계적 동향 2. 미국시장의 현황 제4절 일본시장의 급정상 요인 분석 1. 수요의 급증 2. 급성장의 배경분석 제3장 무선호출서비스 제1절 세계시장의현황 및 전망 1. 세계시장의 전반적 동향 제2절 일본..
2007.09.17 -
웹2.0과 IPTV 서비스 : ETRI 김성한 / 이승윤
Ps. 웹2,0 기반의 IPTV서비스에 대한 특징으로 환경/방법론/인터페이스에 대한 소개들이 잘 되어 있습니다. ^^ 웹2.0과 IPTV 서비스 김성한┃TTA PG 401 위원,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이승윤┃TTA PG 401 의장,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팀장 - 개요 - 웹2.0의 등장과 함께 사용자 참여, 공유, 개방의 개념은 기존의 서비스 구조나 비즈니스 모델의 파괴(Disruption)와 함께 인터넷 기반의 모든 서비스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새로운 경쟁력을 갖는 서비스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또한, 웹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다른 서비스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이는 웹의 기본적신 속성인 표준에 기반한 개방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때..
2007.09.17 -
모바일 웹2.0과 모바일OK 표준화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종홍 선임연구원
Ps. 전종홍 선임연구원님이 전에 강의하는 내용에 모바일 웹2.0은 온라인 웹 1.2정도와 비슷하다라고 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고속인프라의 변화 서비스의 변화가 이루어져 TCP / HTTP등의 표준을 무선에 적용되었고 풀브라우징(저는 휴대폰에서 풀브라우징을 써보고 있답니다.)등이 서비스 되어 활발하지는 않지만 점차적으로 서비스가 변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모바일 웹 1.X에서는 주소 입력의 불편함, 사용자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대역 문제, 화면크기 제약 , 콘텐츠 호환 불가 등의 문제가 한계성을 가지게 되엇지만 HSDPA,WiBro / RFID를 활용한 연계 등이 가능해 져 점차적으로 사용이 편리해지고 있다라는 생각은 듭니다. 그러나 아직 문제점은 네트워크 비용이며 이러한 네트워크 비용의 문제점이..
2007.09.17 -
웹2.0 관련 핵심 표준화 이슈 : 2007.0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s. Web2.0에 대한 이야기로 사실 시멘틱웹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W3C활동 및 워킹그룹에 대한 소개 그리고 그에 대한 표준화 이슈 및 진행상황 들에 대한 소개입니다. 웹2.0 관련 핵심 표준화 이슈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이 강 찬┃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목차 - 1. 웹2.0 이슈 : 서비스에서 표준화로의 전환 2. W3C의 웹 및 웹2.0 표준화 현황 3. W3C의 웹2.0 핵심 기술 이슈 3.1 웹2.0 클라이언트 기술표준화 이슈 3.2 웹2.0 서버 기술 표준화 이슈 3.2.1 시맨틱 웹 활동 3.2.2 웹서비스 활동 3.3 웹2.0 콘텐츠 표준화 이슈 4. W3C의 웹2.0 관련 기술 이슈 4.1 웹2.0 필수 기술 표준화 이슈 4.2 웹2.0 연관 기술표준화 이슈 5. 결론 및 대..
2007.09.17 -
웹2.0의 기술 트랜드 : 한국MS 김국현
Ps. Pctools아저씨의 웹2.0 기술 트랜드는 다른 사람들이 AJAX를 열심히 소개하고 끝내는 것에 비하여 좀 더 명확한 트랜드 내용을 제시한다. 특히, 요즘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RIA에 대한 부흥들이 그 대표적인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근데... 좀 뭔가 더 많은 기술적 트랜드를 보고 위 자료를 보는 것이 모호한 개념을 확실하게 잡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웹2.0의 기술 트랜드 김국현┃한국MS - 목차 - 개요 개인의 대두, 개방성, 그리고 기술 2007년, 웹2.0적 기술의 세가지 트렌드 XML 다이내믹 랭귀지 RIA(Rich Internet/Interactive Application)
2007.09.17 -
웹2.0 서비스 및 비즈니스 현황 : 소프트뱅크미디어랩 류한석 소장
Ps. 사실 국내에서 웹2.0으로 돈을 많이 벌고 있다는 업체는 들어본적이 없다. 투자를 받았거나 M&A 되었거나... 이런 이야기들은 많이 들었지만 말이다. 올라로그 / 첫눈 등의 사이트들이 대표적으로 투자 및 M&A된 업체로 볼 수 있을 것이다. Web2.0을 대규모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에는 아직 자본의 집중을 국내에서 하기 힘들고 인구의 문제와 언어의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언어의 탈피할 수 있는 서비스가 메뉴에 붙어야만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다. 그런 온라인 SNS.... 언제쯤 시작될까....? 웹2.0 서비스 및 비즈니스 현황 류 한 석┃소프트뱅크미디어랩 소장 - 목차 - I. 서론 II. 소셜 컴퓨팅과 웹2.0 서비스들 1. 소셜 네트워크(Soc..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