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Huawei E800 Skype Phone
Ps. 화웨이의 SKYPE 전용 폰 벨킨꺼보다는 좀 나아 보인다. (그러나 더 비싸보인다.... ;; WINCE라니...) MSN이 함께 제공된다는 것에 환영의 이야기를 하고 싶다. ^^ 카메라를 달면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듯 보인다. (맞는지 모르겠다.) 여튼 상대방이 웹캠이 있는 경우 화상통화는 가능한 듯 하다. 국내도 070 서비스 런칭으로 보이스 메시지 / 영상 메시지가 되는 때가 오지 않을까...? Huawei E800 Skype Phone - Skype Talk and SkypeOut - MSN - IP TV/IP radio and web cam streaming - VoIP features include 3-way conferencing - caller ID - call hold/resum..
2007.09.20 -
LG Telecom 지상파 DMB 폰 Pink CAN U : canU701d
Ps. 드디어 기대했던 반셔터 폰이 나오는군요. 그리고 5시간 DMB를 시청할 수 있을 정도라면... 배터리가 대용량일꺼라는 예상까지... 요즘 슬림폰 하면서... 조루 배터리였는데.. CANU의 경우 사용자들이 정말 원하는 것은 오랜 통화시간이라는 원칙을 가져가는 듯 합니다. Pink CAN U : canU701d - 2.6인치 디스플레이 - 360도 스위블 폴더 - AF / 손떨림 보완 / 반셔터 기능 - 지상파 DMB : 5시간 연속 재생 - 가격 : 한화 500,000원 예상 출처 : MobileWhack.com
2007.09.20 -
모토로라 뮤직폰 : Motorola ROKR E8 music phone
Ps. 아이폰에 대항하기 위하여 많은 회사들이 난리를 치는 듯 합니다. 소니 에릭슨이 소니의 워크맨 폰을 발매하여 최근 성장했고 애플이 아이폰을 들고 나와서 언론을 휩쓴 상태에서... 모토로라가 최근 레이저 이후 참패의 참패를 거듭나고 있는 상태이다 보니 말입니다. 모토로라의 ROKR E8의 경우 모토로라의 뮤직폰으로 오메가 휠이라는 네비게이션 휠을 장착하여 아이팟 같은 느낌을 주도록 만드는 듯 합니다. Motorola ROKR E8 music phone - GSM / GPRS - 2 메가픽셀 카메라, 262,000 컬러 QVGA - 2GB 내장 메모리, microSD 카드 슬롯 - FM 라디오, 3.5 mm 헤드폰 잭 - 터치키패드 / 네비게이션용 오메가 휠 - 280 EURO 유럽에서 4/4분기 판매..
2007.09.20 -
모토로라 스마트폰 Motorola RIZR Z10
Motorola RIZR Z10 GSM850/900/1800/1900, WCDMA, GPRS/EDGE, 3.6 Mbps HSDPA 심비안 9.2 OS (with UIQ 3.2 UI) 3.2M Pixel 카메라 AF, 8x 디지털줌,플래쉬, 30프레임 QVGA 동영상 촬영기능 VGA front camera 2.2인치 320×240 QVGA 16M 컬러 디스플레이 90 MB 내장형 메모리 와 microSD 메모리카드 슬롯, Bluetooth A2DP miniUSB (미국향은 대부분 mUSB로연결 - 국내는 24핀 케이블)
2007.09.20 -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 동향 및 전망 : 2007.09.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s. IPTV시장 / 동남아 및 중국, 인도 시장등 신흥시장들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어 디지털 셋톱박스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자료입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국내의 경우 방송사업에 대하여 국가에서 너무 정책상 죄어 버려서 지역 시장 독과점등으로 인한 디지털 셋톱박스로 전환할 이유가 그리 크지 않아 기술력 있는 회사들은 있으나 국내 시장은 거의 신경 쓰지 않고 해외 수출만 열심히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하여 해외 진출 생각은 꿈에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뭔가 좀 변화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국내 방송사와 셋톱박스 회사가 함께 해외 방송사 시장 진출하는 모델 같은것들....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 동향 및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총 19 쪽 - 목차 - I. ..
2007.09.20 -
FCC, 인터넷전화(VoIP)에의 전송서비스 의무 부여 동향 : 2007.09.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s. 위 자료는 미국에서 VoIP를 일반 전화 통신 사업자의 보편적 의무를 지도록 만드는 내용으로 한국에서도 의무주시하게 보아야 할 듯 합니다. 112/119 등 보편적 서비스 의무 적용 외에 장애인 사용에 대한 서비스까지 의무 적용하도록 만들게 된다면 일반적으로 인터넷 전화가 점차적으로 별정회사면 누구나 하기 쉬웠던 상황에서 특정 사업자 수준이 되어야만이 가능한 수준으로 올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러다보면 결국 기반 시설을 갖추었다고 하더라도 이런 부분을 전문적으로 해주는 ASP 회사들이 만들어지고 점차적으로 분업화된 서비스로 제공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FCC, 인터넷전화(VoIP)에의 전송서비스 의무 부여 동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신방송정책연구실 주임연구원 이은곤 TEL : 02-570-4122 ..
2007.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