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웹2.0 패러다임과 의미 : 2007.0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s. Web 2.0에 대한 트랜드를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설명해 놓은 자료입니다. 기업들도 Web2.0의 활용으로 엔터프라이즈2.0이란 이름하에 추진되고 있음을 이야기 하며 수익모델로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뜻하고 있습니다. 웹2.0 패러다임과 의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조산구┃KTH
2007.09.17 -
Web2.0 표준화 및 서비스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s. Web 2.0에 대하여 전체적인 온라인 서비스 동향 / SNS 동향 그리고 Web2.0의 표준화과 UCC로 인한 악성코드 난립(스팸이 장난이 아니죠...) 등에 대한 전체적인 이승윤 의장님의 질답형식의 이야기입니다. Web 2.0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으로 Web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기에 좋은 이야기라 생각합니다. Web2.0 표준화 및 서비스 이승윤 TTA 웹 PG 의장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팀장 총 10 쪽
2007.09.17 -
IPTV 서비스 오버레이 네트워킹 : 2007.09.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s. 실제 망을 가지지 않은 사용자가 공정경쟁을 하기 위하여 IPTV서비스 기능 및 콘텐츠를 이용한 환경을 제공하고 부가적인 IPTV서비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오버레이 네트워킹을 한다는이야기입니다. (쓰구나니까 대단히 어려워지는 이야기 처럼 보이는데..) 다시 이야기 한다면 IPTV를 하려고 하는 미디어 사업자 및 통신사업자들이 IPTV만이 아닌 여러 서비스들 (TPS/QPS)을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품질 보증 및 여러기기들과의 연동성이 담보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에 물리적 네트워크 외에 가상 네트워크를 함께 제공하여 효율성을 높이자는 이야기라고 하는 듯 합니다. 왠지 유동에 사설을 입힌다는 모 그런 이야기인듯 한데.... 유비쿼터스가 되려면 IPv6가 되어야 하는데.. 그때는 해결되지 않을까요...?..
2007.09.17 -
유비쿼터스 시대 정부 CIO의 역할 : 2005.04.07 KAIST 김성휘 교수
Ps. SMART MIND... Real-Time과 Divergence... 정부만이 아닌 기업에서도 이런 부분을 체크하고 도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유비쿼터스 시대 정부 CIO의 역할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김성휘 교수 seekim@kgsm.kaist.ac.kr Digital 시대 혁신 SMART MIND Real-Time화 추구 고객조직원화 협업시스템 구축 Divergence추구 네트웍관점 조명 Virtual Teaming Divestiture 다양한 채널 활용
2007.09.16 -
IBM의 유비쿼터스 전략과 구현사례 : 2005.04.07 한국IBM
Ps. IBM의 자료는....;; IBM의 선전이 좀 많네요. 그리고 유비쿼터스로 나가는데 있어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을 꼬집는 내용이 맨 마지막에 나와 있습니다. ^^ IBM의 유비쿼터스 전략과 구현사례 한국IBM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소 변완희 실장 - 목차 - 1. U-Government를 향한 정부의 노력 - 정부의 정보화 정책과 그 결실 - U-Government를 위한 중점사항 2. IBM의 Ubiquitous 전략 갸요 - Ubiquitous에 대한 IBM의 비전 3. IBM의 World-wide 연구소와 연구분야 - Ubiquitous의 기술보고인 IBM의 8개 연구소 - Ubiquitous 관련 연구분야 4. IBM의 Ubiquitous 관련 연구결과 - U-Government에 적용 가..
2007.09.16 -
전자정부 : U-Gov를 향하여 : 2005.04.07 행정자치부
Ps. 개인적으로 정부의 u-Gov에 대해서는 갸우뚱입니다. 전 세계 전자정부 능력 몇위냐에 너무 치우쳐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것이 개인적 생각입니다. 정확한 비전은 느껴지는 것이 없고 그저 해외의 사례를 참조하여 우리는 이렇게 가자라고 하는데... 그것도 왔다갔다... HP의 Cooltown은 기업에서 우리는 이러한 솔루션을 가지고 있으니 정부에서는 도입이 가능한 부분부터 도입을 시켜라라고 하는 내용을 사례라고 적는 것은....;;; 예전에 모 시청의 U-전자정부 서비스라고 하여 휴대폰으로 해당 시청의 홈페이지를 접속 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생각나네요. 사실 휴대폰 트래픽 비용이 비싸서... 사용 할 사람이 거의 없는데...;; u-Gov를 정말 하려면 Wireless Network 비용을 ..
2007.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