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398)
-
국내 미디어 기업의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 사례 분석
[IT Report Comment] 국내 미디어 기업의 모바일 콘텐츠 서비스 사례 분석을 1) 국내 신문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콘텐츠의 유형과 수익모델은 어떠한가? 2) 국내 지상파 방송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콘텐츠의 유형과 수익모델은 어떠한가? 3) 국내 인터넷 포털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콘텐츠의 유형과 수익모델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 문제는 상당히 관심이 많이 가는 내용입니다. 모바일 콘텐츠 유형도 어느정도 잘 잡았다고 생각 됩니다. 특히, 처음 조선일보에서 서비스 하는 서비스 형태와 해당 서비스에 대한 가입자 수 및 UV까지 파악되어 이 서비스에 대한 지역별 사용자 및 연령층 자료는 뉴스 매체의 모바일 뉴스 매체의 유료 서비스가 국내에서 가능한가..!라는 부분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는 자료라 생각 들었..
2011.08.04 -
IPTV 가입자의 VOD 서비스 이용 태도 :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IT Report Comment] 개인적으로 매우 관심가져지는 주제입니다. (사실 더 관심이 있는 주제는 IPTV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태도 : 60대 이상 실버인구를 대상으로...가 더 관심이 갑니다. - 추가 Pay를 하고 추가 VOD 유료 서비스를 보느냐 등등...) 20대 30대의 성별, 연령별 최대 시청 기록 및 빈도수 비중들 자료나 이용 방식 (공동/개인) 자료나 주중이냐 주말이냐에 대한 자료 등... OTT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지상파 / 영화 / 애니메이션에 대한 빈도수 및 지상파의 경우 남여 성별로 버라이어티 / 드라마 / 다큐 / 음악 시청에 대한 장르 빈도수라던지.. 이런 부분이 매우 가치있다고 봅니다. 단, 해당 대상층과 조사 인원이 2..
2011.08.04 -
[u-City] 모바일 서울(m.Seoul) 추진 전략
[IT Report Comment] 서울시의 u-City 모바일 서울 추진 전략 자료입니다. 서울시청의 정보화 기획단에서 작성하여 기자설명회 발표자료한 자료입니다. 2009년 자료로 예상됩니다. 서울시의 유비쿼터스 관련 도시 개발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관광분야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는 상황입니다. 도시의 해외 수출모델(?)을 주장하는 것에는 어느정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버스 정보(BIS)는 많은 분들이 이용하셨을꺼라 생각 됩니다. 또한, 최단경로 안내 등의 기능은 매우 좋은 기능들이라 생각 되고 또한 잘 만들어져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서울시의 u-City 사업중 일환인 모바일 서울 추진전략은 필요 서비스라고 생각되며 추진 과제에도 있듯이 공공DB개방을 하여 더 많은 콘텐츠 및 서비..
2011.08.04 -
[u-City] 서울시청 u-Seoul 서비스 모델
[IT Report Comment] u-City관련하여 서울시 u-Seoul의 2006년도 중장기적 마스터 플랜 서비스 모델 자료입니다. 6대 분야별 서비스 모델을 만들었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4대 선도사업을 만든 것이 서울시 u-뉴타운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다른 곳이라면 하나의 도시라고 볼 수 있는 대단지를 유비쿼터스 기반으로 만드는 형태이기 때문에 뉴타운은 하나의 선도사업이라고 할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지금 2011년도를 되돌아보면 u-Tour나 u-Transport만 보더라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들이 많아지고 있는 듯 합니다. 조금 더 u-Seoul 관련된 자료를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IT Report] 2011/08/03 - 민간 U-City 개요 및 기대효과 201..
2011.08.04 -
[스마트TV] 삼성 Smart TV 소개
CtRfdFvZWnOj3eGNJ72gZzGTp6Uds9nNDY2qxBsU5XU, [IT Report Comment] * 2010년 11월 자료로 요 전에 올린 자료보다 조금 지난 자료입니다. 삼성의 최근 자료를 보려면 SDK 소개와 함꼐 있는 자료를 보시는 것이 나을 듯 합니다. 해당 자료는 CONNECT TV도 SMART TV로 간주하였습니다. 최근 자료는 그 다음 세대가 SMART TV로 간주하였습니다. 그 만큼 삼성에서도 스마트TV에 대한 정의를 바꾸어 간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N-Screen이 앞으로의 변화 추세가 될 것이다라고 보고 있으며 이 부분은 사실 Contents를 제공하는 업체의 입장이기 때문에 제가 보기에는 SKT와 합작하여 호핀서비스를 제공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2011.08.03 -
민간 U-City 개요 및 기대효과
[IT Report Comment] 제가 다녔던 회사에서도 해당 자료를 내놨었네요. ㅡOㅡ;;; 그래도 정리는 잘 해 놓은 듯 합니다. (누가 쓴 걸까..;;; 저도 2005년도에 U-City관련 컨설팅을 했던지라...;;;) 위에 이미지는 U-CIty에 대하여 대상과 사업주체를 매우 잘 정리 하였습니다. 과거 정부주도나 LH공사 그리고 지자체 주도였던 것이... 재개발 사업과 맞물려 민간사업자에게도 틈이 생겼고... u-City협회와 짝이 맞으면서... U-Town(뉴타운이 아닙니다. ^^)으로 지정하여 땅값 부풀리기에 성공하게 됩니다. U-Town이 기존과 다른 것은 시내 중심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신규 복합단지는 기존 공장이나 아니면 물류 단지를 철거하고 그 곳에 U-Town을 만드는 ..
2011.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