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WEB(26)
-
인터넷 정보량 급증의 영향과 대응 : 2007.09.17 삼성경제연구소
Ps. 인터넷을 통한 정보접근량이 엄청나고 있지만 현재는 카페/블로그 등의 TEXT기반의 자료가 대부분이었고 현재 증가량은 그리 크게 증가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동영상의 경우 400%가 넘는 성장량을 보이며 눈여겨 볼만한 성장성을 보여주고 있고 이러한 것은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품질의 향상의 기여가 함께 이루어 낸 것이 아닌가 하는 내용입니다. 이에 대한 IT인프라에 대하여 시사하며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을 함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터넷 정보량 급증의 영향과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김종만 수석 연구원 TEL : 02-3780-8379 EMAIL : chongman.kim@samsung.com 총 11 쪽 - 목차 - 1. Focus A. 급증하는 인터넷 정보량 B. 정보량 급증의 영향과 대응..
2007.09.20 -
Web 2.0시대의 공공 부문 변화 양상 : 2007.09.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s. 위 자료는 정부에서 Web2.0을 받아들임에 있어 '공공 부문 및 정책 수립 과정에서 일반 시민들의 참여 및 개방 요구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필요를 제공하는 움직임이 필요할 뿐 아니라, 나아가 시민들의 지식과 힘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동원하고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즉, 커다란 틀을 우선 정부가 만들고 시민들이 참여하며 그 내용중 주요한 부분을 더 끌어내고 일부 틀린 사항을 정정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지식을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도와야 한다는 이야기라 생각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래 원칙 1,2,3이 대단히 중요하겠지요. ^^ Web 2.0시대의 공공 부문 변화 양상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2007.09.17 총 5 쪽 - 목차 -..
2007.09.20 -
웹2.0과 IPTV 서비스 : ETRI 김성한 / 이승윤
Ps. 웹2,0 기반의 IPTV서비스에 대한 특징으로 환경/방법론/인터페이스에 대한 소개들이 잘 되어 있습니다. ^^ 웹2.0과 IPTV 서비스 김성한┃TTA PG 401 위원,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이승윤┃TTA PG 401 의장, ETRI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팀장 - 개요 - 웹2.0의 등장과 함께 사용자 참여, 공유, 개방의 개념은 기존의 서비스 구조나 비즈니스 모델의 파괴(Disruption)와 함께 인터넷 기반의 모든 서비스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새로운 경쟁력을 갖는 서비스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또한, 웹 기술의 발전은 기존의 다른 서비스의 발전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데 이는 웹의 기본적신 속성인 표준에 기반한 개방형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융복합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때..
2007.09.17 -
모바일 웹2.0과 모바일OK 표준화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종홍 선임연구원
Ps. 전종홍 선임연구원님이 전에 강의하는 내용에 모바일 웹2.0은 온라인 웹 1.2정도와 비슷하다라고 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고속인프라의 변화 서비스의 변화가 이루어져 TCP / HTTP등의 표준을 무선에 적용되었고 풀브라우징(저는 휴대폰에서 풀브라우징을 써보고 있답니다.)등이 서비스 되어 활발하지는 않지만 점차적으로 서비스가 변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기존의 모바일 웹 1.X에서는 주소 입력의 불편함, 사용자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대역 문제, 화면크기 제약 , 콘텐츠 호환 불가 등의 문제가 한계성을 가지게 되엇지만 HSDPA,WiBro / RFID를 활용한 연계 등이 가능해 져 점차적으로 사용이 편리해지고 있다라는 생각은 듭니다. 그러나 아직 문제점은 네트워크 비용이며 이러한 네트워크 비용의 문제점이..
2007.09.17 -
웹2.0 관련 핵심 표준화 이슈 : 2007.0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Ps. Web2.0에 대한 이야기로 사실 시멘틱웹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W3C활동 및 워킹그룹에 대한 소개 그리고 그에 대한 표준화 이슈 및 진행상황 들에 대한 소개입니다. 웹2.0 관련 핵심 표준화 이슈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이 강 찬┃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목차 - 1. 웹2.0 이슈 : 서비스에서 표준화로의 전환 2. W3C의 웹 및 웹2.0 표준화 현황 3. W3C의 웹2.0 핵심 기술 이슈 3.1 웹2.0 클라이언트 기술표준화 이슈 3.2 웹2.0 서버 기술 표준화 이슈 3.2.1 시맨틱 웹 활동 3.2.2 웹서비스 활동 3.3 웹2.0 콘텐츠 표준화 이슈 4. W3C의 웹2.0 관련 기술 이슈 4.1 웹2.0 필수 기술 표준화 이슈 4.2 웹2.0 연관 기술표준화 이슈 5. 결론 및 대..
2007.09.17 -
웹2.0의 기술 트랜드 : 한국MS 김국현
Ps. Pctools아저씨의 웹2.0 기술 트랜드는 다른 사람들이 AJAX를 열심히 소개하고 끝내는 것에 비하여 좀 더 명확한 트랜드 내용을 제시한다. 특히, 요즘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RIA에 대한 부흥들이 그 대표적인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근데... 좀 뭔가 더 많은 기술적 트랜드를 보고 위 자료를 보는 것이 모호한 개념을 확실하게 잡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웹2.0의 기술 트랜드 김국현┃한국MS - 목차 - 개요 개인의 대두, 개방성, 그리고 기술 2007년, 웹2.0적 기술의 세가지 트렌드 XML 다이내믹 랭귀지 RIA(Rich Internet/Interactive Application)
2007.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