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Government Strategy(15)
-
방통융합시대DC정책추진방향 : 2007.05.10 정보통신부
Ps. 국내외 디지털 콘텐츠 시장에서 게임/영상/음악 등 문화콘텐츠 시장의 비중이 축소되고 정보콘텐츠와 특히 디지털 방송 및 IPTV관련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외의 경우 정보콘텐츠가 미미하게 축소되고 있고 디지털방송 콘텐츠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의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방향성을 옅보기는 좋으나... 일반 기업에서 정부의 방향을 보면서 서비스를 같이 만들어 가는 것을 파악하는데는 힘든 자료이다. 음.. 그건 문화관광부가 하는 거라서 그런가...??? 방통융합시대DC정책추진방향 정보통신부, 강석원전략SW팀장, 2007.5.10 총 25 쪽 - 목차 - I. 콘텐츠 산업 패러다음 변화 II.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정책환경 III. 정통부 정책 추진 현황 및 상과 IV. 비전 및..
2007.09.14 -
통신사업 역무 및 사업자 분류제도 개선 방향 : 2007.09.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Ps. 금번 MVNO로 인한 법재정이 변화되면서 앞으로 이런 형태로 더욱 개선되어야 겠다는 내용입니다. 국내의 경우 기간사업자/별정1호/별정2호/별정3호/부가서비스 사업자로 나누어져 있으나 해외의 경우는 전송업무를 담당하는 사업자와 부가서비스 사업자 이런 형태로 나누어져 있어서 그 만큼 규제가 적어 사업의 환경이 좋다는 내용입니다. 통신사업 역무 및 사업자 분류제도 개선 방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KISDI 총 41 쪽 - 개 요 - 통신의 기술발전으로 통신네트워크가 광대역화, All-IP화하면서 통신시장의 환경이 질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하나의 서비스는 특정한 네트워크의 기술적 제약을 넘어 어떤 네트워크에서도 제공 가능해지고 있으며, 하나의 통합망에서 모든 서비스가 제공 가능해지는 융합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2007.09.13 -
2007_07_26 전기통신사업법 개정법율안 최종본 (MVNO 관련 개정법안)
Ps. 노준형 정통부장관이 7월 23일 브리핑을 통해 설명한 기간통신역무 분류제도 개선 및 재판매 등 도매규제 도입 등을 내용으로 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 자료입니다. MVNO에 대한 법률 개정안 자료라고 보시면 되며 신설된 법률 개정안 내용이 많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근데 내용 봐도 잘 모르겠더군요....;;
2007.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