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19)
-
소셜 TV 서비스 (Social TV Service)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스마트 TV와도 일맥상통하는 자료라고 생각 한다. 미국 ABI리서치 보고서의 SNS 이용자의 36%가 TV를 통해서도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희망한다라는 조사가 나왔다 시청 경험의 공유를 통한 콘텐츠의 재소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 것이 Twitter의 '리트윗'이나 페이스북의 '좋아요'와 연계되었을때 그 가치가 극대화 될 것이라 생각된다. 과거 일본 USEN의 Gyao(http://gyao.yahoo.co.jp/)는 이러한 소셜 TV 형태를 취했고 다양한 콘텐츠를 모았으며 Gyao Magazine과 연계되어 있다. 과거에는 Channel 넘버가 장르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 부분이 사라지면서 TV형태를 버렸는데..
2011.07.19 -
디지털컨버전스 환경에서의 신산업 활성화 전략연구 : 200703 KISDI
[ITReport Comment] 해당 내용중 '제도의 유연성'확보로 M&A관련제도 개선하고 정부부처간에 신속하고 적극적인 협력을 통한 신규산업 걸림돌이 되는 법규정을 과감히 개선해 나가는 부분의 문제는 끄덕끄덕 거리게 되었습니다. 이제 새로운 정부에서는 그런 부분이 해결될지... 아마도 되겠죠...? ^^ 디지털컨버전스 환경에서의 신산업 활성화 전략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재영/유선실/권지인 - 목차 - 서언 요약문 제 1장 서론 제 2장 디지털 컨버전스의 개념과 전개 제 1절 디지털 컨버전스의 개념 제 2절 디지털 컨버전스의 동인 제 3절 디지털 컨버전스의 전개 제 3장 디지털 컨버전스 산업의 현황 제 1절 텔레매틱스 제 2절 홈네트워크 제 3절 IPTV 제 4절 RFID/USN 활용서비스 제 5절 ..
2008.02.10 -
2007.10.04 정보통신부 인터넷TV(IPTV) 이제는 활성화 되어야 한다.
[ITReport Comment] 정보통신부 자료실에는 IPTV 도입방안이라고 명명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내용은 현 제목처럼 활성화를 위하여 이러해야 하겠다는 개인적 논리같습니다. 그냥 방향에 대한 참고사항으로 잡으셨으면 합니다. 2007_10_04_정보통신부_IPTV 도입방안 인터넷TV(IPTV) 이제는 활성화 되어야 한다. 출처 : 정보통신부 u-정책포커스 일반정책자료 - 목차 - I. 새로운 융합서비스의 등장 II. 도대체 IPTV는 무엇인가? III. IPTV 도입 이전의 국내시장 여건 IV. 수평적 규제체계의 이해 V. 과연 유연한 입법형태는 무엇인가? VI. 왜 진입규제는 완화되어야 하는가? VII. 인터넷의 속성은 바로 전국 사업권역 VIII.왜 득정사업자의 자회사 분리는 불합리한가? IX...
2008.01.05 -
Mobile IPTV : 2007.11 박수홍 삼성전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ITREPORT Comment] 한국의 IPTV기술은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고 실제 수출까지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작 국내에서만 많은 규제에 의하여 서비스가 제대로 되지 못하고 부~웅 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해외에서는 몇년전에 상용화 되었지만 국내에서는 방송업계의 반발로 인하여 IPTV시장을 잃어버렸으나 Mobile IPTV의 경우까지 그럴 수는 없지 않을까 싶다. 물론, 해외에서는 벌써 Mobile IPTV도 상용화에 들어갔다. (프랑스였나...? 찾아봐야 하는데..) 한국은 NGN 및 DMB 그리고 IPTV에 대해서 착실히 준비하면서 Mobile IPTV 필요 기반 기술은 만들어 놓았다. (물론, Contents는 거리가 멀다.) 이를 어떻게 하느냐가... 앞으로의 먹거리 전선에 크..
2008.01.03 -
세계의 디지털TV 보급 전망 : 2007_12_17 KISDI
[ITReport Comment] 전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디지털 TV에 대한 보급율들을 예측하며 서유럽과 북아메리카의 매체변화에 대한 영향이 아시아나 중동그 외에 동유럽등에 어떻게 그리고 어떤 시기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하여 예상하기 위한 기초 자료라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디지털 케이블/위성/IPTV 및 디지털지상파 방송등을 간략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세계의 디지털TV 보급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통신방송정책연구실 신호철 주임연구원 02-570-4054 / animeshin@kisdi.re.kr I. 개요 II. 본문 가. 총론 나. 디지털케이블 다. 디지털위성(DTH) 라. IPTV 마. 디지털지상파(DTT) III. 결어
2007.12.23 -
IPTV 수신기 표준화 동향 : 2007.08.17 삼성전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Ps. 과거 TV는 마을에서 한대 있거나 또는 집에 한대 있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집집마다 한대가 아닌 각 방마다 한대인 시대가 되어 버린 상황이다. 거실에 안방에 그리고 어른방에 아이들방에... 할 것 없이 방만 있으면 TV가 있다고 할 정도로 TV는 그 만큼 많아졌다. 지금의 Cable Settop이나 Satellite Settop이나 모두 1대의 TV에 연결한다는 기준으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좀 더 깨끗한 화잘에 다양한 채널을 보고자 하는 욕구는 크며 그러하기에 선을 몰래 빼다가 연결해서 쓰는 일두 빈번하다. 케이블 회사에 이야기 하면 settop을 한대 더 주면서 비용은 왕창 받구.....;;; 사용자는 아주 적은 비용을 내면서 한대를 더 수신하기를 원한다. (걍 1대가..
2007.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