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Created Contents(3)
-
소셜 TV 서비스 (Social TV Service)
[IT Report Comment] 해당 자료는 스마트 TV와도 일맥상통하는 자료라고 생각 한다. 미국 ABI리서치 보고서의 SNS 이용자의 36%가 TV를 통해서도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희망한다라는 조사가 나왔다 시청 경험의 공유를 통한 콘텐츠의 재소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 것이 Twitter의 '리트윗'이나 페이스북의 '좋아요'와 연계되었을때 그 가치가 극대화 될 것이라 생각된다. 과거 일본 USEN의 Gyao(http://gyao.yahoo.co.jp/)는 이러한 소셜 TV 형태를 취했고 다양한 콘텐츠를 모았으며 Gyao Magazine과 연계되어 있다. 과거에는 Channel 넘버가 장르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이 부분이 사라지면서 TV형태를 버렸는데..
2011.07.19 -
UCC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 : 20070823 SBS인터넷 김영주 이사
Ps. UCC는 기존의 미디어를 통해 일방적으로 수용하던 이용자들이 직접 컨텐츠를 생산 하는 주체로 변화 하면서 만들어내는 그들의 재산 이러한 UCC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생산하는 컨텐츠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러한 보상체계를 공정하게 연계해줄 기관이 필요하며 해당 콘텐츠의 경우 보상을 받으려면 UCI같은 특정 기관에 저장권 등록을 하여 그에 연계된 연계매출을 잡아 줄 수 있도록 해야 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을 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 해당 자료는 SBS인터넷의 김영주 이사님의 자료이지만... 저의 덧글은 저만의 순수 창작물입니다. 실제 이러한 해당 자료를 끌어갈 경우 해당자료의 원저작권자 또는 해당 자료의 저작권 대행사가 어느정도 일부 발생할 매출의 일정부분..
2007.10.01 -
UCC의 산업화 가능성 : 20070823 한신대학교 오창호 교수
Ps. 대체적으로 WEB 1.0에서 WEB 2.0이 어떻게 넘어갔는지..? 왜..? UCC가 부상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어떠한 수익모델이 있을지에 대해서 한신대학교 오창호 교수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UCC 그리고 WEB 2.0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시는데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UCC의 산업화 가능성 한신대학교 오창호 교수 - 목차 - 1. UCC와 사용자 참여의 의미 2. 비즈니스/마케팅에서의 UCC사례 3. 전략과 과제 :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2007.10.01